2020년 4월 18일 토요일

분석하고 따지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려는 습성

나에게 이런 습성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는데,
어쩌다 보니, 우연히 내가 이런 습성을 가진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직적의 포스팅에서 밝힌 바와 같이,
최근의 사회적인 현상들이 나를 불편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아져서,
그런 스트레스의 해소를 위해 원인을 따져가 보니,
문득 내가 이런 습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나를 불편하게 만드는 것이구나 싶게 생각하게 되었다.


그런데, 아주 우스운 일은, 저런 습성이 매우 이성적인 단계를 거쳐야만 가능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인정할 수 밖에 없더라는 것이다.

즉, 어떤 사안에 대해서, 그것의 옳고 그름 혹은 죄측 우측, 혹은 1번 2번 하는 선택은 거의 직관적으로 일어나서 아무론 이성적 판단이나 추론이 개입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의 이성적 판단이나 추론들은, 직관적 선택이 일어난 후에, 그 선택을 정당화 하거나 강화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작업으로 일어날 뿐이었다는 것이다.

아마도 이건 내가 내린 선택에 대해서 다른 반대 의견을 너무 두려워하기 때문에 나의 선택에 대한 최소한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반복된 작업으로 생긴 습성이 아닌가 싶다.
그리고 이런 습성은 결국 다른 의견이나 반대 의견에 대해서는 강하게, 그리고 무조건적으로 배척을 하는 반응을 강화시켰고, 내가 무언가 실패나 실수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현격하게 제한시켜 버렸다.


또 한가지의 좋지 않은 점은,
각종 전시회나 공연 등에서 그걸 있는 그대로 "느끼는" 것에 아주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그것들을 느끼기 이전에 나는 먼저 분석하고 판단하고 좋은 것 나쁜 것 가르며 채점을 먼저 했을지 모르겠다.
그렇게 내린 가치나 점수가 나에게 어떤 식으로 도움이 되었는지도 모르겠고, 내가 느껴야 할 것들은 느끼지 못하고 그냥 지나쳐버렸다.
덕분에 나는 그런 전시회나 공연 등의 감상문이나 후기를 적는 것이 매우 어렵고 불편했으며, 급기야는 전시회나 공연 자체를 회피하게 되었다.


아직도 이 부분에 대해서는 참 모호한데,
내 무의식에 존재하는 것이,
이성적인 판단을 하지 않고 직관적 판단이 앞서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것인지,
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내가 내린 선택의 정당성을 얻기 위해 분석하고 판단하려는 습성이 있는 것인지,
감정적인 것은 나쁘다는 무조건적인 배척이 있는 것인지,
혹은 이런 것들이 복합적으로 엮어져서 나타나는 것인지 알기 어렵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